5인미만 기업이고 일이많아 밤12시까지 야근한적도있고 일주일에3번이상은 야근합니다 야근수당은없고요 이번에 퇴사아니면 연봉삭감이라는데 실업급여는 방법이뭐가있을까요? 곧1년이라 연봉협상이시기인데 올리긴커녕 삭감+퇴직금도 못받게생겼어요
2025.03.03
이번 국회의원 선거날 유급 휴무날 맞나요? 혹시 출근한다면 1.5배 맞는지도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희 회사는 5인 미만 입니다.
2024.03.22
계약직으로 1년 일하고 나서 종료후 재계약이 안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되는 건지 궁금해요
2024.03.22
근로계약 만료되어 퇴사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 못받나요?? 계약 만료를 갑자기 통보받게되어 실업급여를 받고싶은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4.03.19
저희 회사는 법적 공휴일에 휴무를 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휴무날 일한것을 돈으로도 주지 않는데 신고를 할수 있는 부분인가요... 익명으로 신고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5인 이상 중소기업 사업체입니다
2024.03.19
퇴직일로부터 14일이 지난 이후에는 상호합의하였더라도 무조건 이자가 붙는게 맞는건가요? 그렇게 요구를 해도 될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024.03.15
주 15시간 정도씩 1년 6개월정도 아르바이트를 했는데요 이럴경우에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불규칙한 스케줄이었어도 마찬가지인지 궁금합니다.
2024.03.15
법인차량을 타고 업무를 하러 나갔다가 신호위반 과태료가 나온거같은데 회사에선 저한테 부담하라고 합니다. 이거 꼭 제가 부담해야하는것인가요?
2024.03.14
제가 다니는 회사가 소규모 회사라 그런지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일하고있습니다. 이런 소규모 회사에서는 작성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024.03.14
성과급은 대표가 마음대로 줄 수 있다고 알고있는데, 성과급을 공정하고, 투명하지 않게 대표 마음대로 지급하면, 근로기준법으로 대응할 방법같은건 없나요? 같은 노력으로 열심히 일하는데 힘빠지고 억울합니다.
2024.03.13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은 사람들도 근로자에 포함되나요 아님 계약서를 쓴 사람들만 근로자에 포함되나요?
2024.03.13
권고사직으로 퇴사를 준비하고있고, 실업급여 받을수 있게 도와주신다고 했습니다. 준비해야할 서류를 빠뜨릴까 걱정이 되는데 꼼꼼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4.03.08
프리랜서로 회사일을 하다가 계약종료가 되어 그만두려고합니다. 이런경우 프리랜서도 실업급여를 받을수 있는지가 궁ㅇ금합니다.
2024.03.08
퇴사의사를 밝힌 뒤 회사에서는 다음사람이 들어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인수인계하고 나가라는 말만 하는중인데요 저는 퇴사의사를 밝혔으니 한달뒤에 그냥 나가면 안되나요? 인수인계자료는 만들어두고 팀원에게 공유한 후 그만둘 생각입니다.
2024.03.05
입사한지 보름만에 대표님의 갑질로 퇴사하려고합니다. 입사서류가 아직 덜준비되었다고 근로계약서는 아직 작성하지 못했는데 받기로 한 월급은 듣고 들어온 상황입니다. 한달채우지 않고 퇴사하고싶은데 받기로한 월급에서 일한만큼 계산해 받을수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나 원래 월급보다 적게 계산할경우 해결할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2024.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