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미만 기업이고 일이많아 밤12시까지 야근한적도있고 일주일에3번이상은 야근합니다 야근수당은없고요 이번에 퇴사아니면 연봉삭감이라는데 실업급여는 방법이뭐가있을까요? 곧1년이라 연봉협상이시기인데 올리긴커녕 삭감+퇴직금도 못받게생겼어요
2025.03.03
안녕하세요 작년 6월7일 입사한 직장인 입니다. 휴가는 회계일 기준이 아닌, 입사일 기준입니다. 지난 2월 휴가를 매달 1개씩 생기는 것을 모두 사용하였습니다. (미리 당겨 쓰는건 법적으로 허용이 안되어 급여에서 삭감하여 무급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따라서 3월에 새로 1개가 생겼습니다. 이후 8월이 된 시점 여름 휴가를 2개 사용하였습니다. 휴가 잔여 개수를 인사팀에 확인해본 결과, 24년 6월7일 이전에 생성된 2개는 다음해로 이월되지 않고, 24년 6월7일부터 25년 6월6일까지 15개 휴가 발생하였고, 휴가 2개를 사용하여 현재 13개 남았다고 합니다. 제가 궁금한건 현 시점 13개 남은게 맞는지와 24년 6월7일 이전에 생성된 2개는 인사팀 말대로 소멸된게 맞을까요? 만약 소멸되었을 경우 미리 2개 소멸 예정이라는 것을 근무자에게 알리지 않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걸까요?
2024.08.22
산재처리는 본인 혼자 하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따로 회사에서 동의를 얻고 서류작성해야하는건가요??
2024.03.26
이번 국회의원 선거날 유급 휴무날 맞나요? 혹시 출근한다면 1.5배 맞는지도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희 회사는 5인 미만 입니다.
2024.03.22
새 직장에 들어간지 일주일차입니다. 근무환경도 너무 좋지 않고 사람들 사이에 문제가 많은 거 같아서(괴롭힘) 그만둔다고 말씀 드렸는데 협박식으로 말을 하시면서 다음 근무자가 구해질때까지 일을 하라고 합니다. 저는 하루라도 더 일하고싶지 않은데 이렇게 나가면 안되는걸까요?
2024.03.22
계약직으로 1년 일하고 나서 종료후 재계약이 안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되는 건지 궁금해요
2024.03.22
육아휴직 중입니다 육아휴직 종료후에 복직 안하면 육아휴직급여를 돌려주어야 할지 질문드려요 다른 직업을 생각중이어서요
2024.03.20
근로계약 만료되어 퇴사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 못받나요?? 계약 만료를 갑자기 통보받게되어 실업급여를 받고싶은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4.03.19
저희 회사는 법적 공휴일에 휴무를 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휴무날 일한것을 돈으로도 주지 않는데 신고를 할수 있는 부분인가요... 익명으로 신고하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5인 이상 중소기업 사업체입니다
2024.03.19
퇴직일로부터 14일이 지난 이후에는 상호합의하였더라도 무조건 이자가 붙는게 맞는건가요? 그렇게 요구를 해도 될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2024.03.15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직원 선물을 법인카드로 하려고하는데요. 직원에게 하는 선물 같은건 복리후생비로 처리하면 되는것일까요?
2024.03.15
주 15시간 정도씩 1년 6개월정도 아르바이트를 했는데요 이럴경우에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지, 불규칙한 스케줄이었어도 마찬가지인지 궁금합니다.
2024.03.15
회사에서 수습기간동안에는 월차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노동법상 문제가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2024.03.14
법인차량을 타고 업무를 하러 나갔다가 신호위반 과태료가 나온거같은데 회사에선 저한테 부담하라고 합니다. 이거 꼭 제가 부담해야하는것인가요?
2024.03.14
제가 다니는 회사가 소규모 회사라 그런지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일하고있습니다. 이런 소규모 회사에서는 작성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