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이 살고계신 빌라가 소규모가로주택사업 발표가 되어 증여받게 되었습니다. 등기는 완료한상태인데, 부모님과 전세계약을 해야되는데 이체내역이 꼭 있어야할까요? 제가 돈을 빌려주는 차용증 형태로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2024.05.22
부모님한테 증여를 받았는데], 과세구간의 금액은 넘지 않았으면 따로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것 맞나요?
2024.03.22
해외 회사에서 프리랜서로 근무하고있는데요 연소득 7500만원이 넘어 복식부기의무자 입니다. 이럴경우 프리랜서보다 사업자를 내는게 이득일까요?
2024.03.21
사업자 등록을 하기 전에 세무사와 계약을 먼저 체결하는게 나을까 고민이 되는데 어떻게 하는게 더 좋을까요?
2024.03.21
형제끼리 분쟁을 막기위해 상속대신 생전 증여를 진행하려고 하는데요 상속세와 증여세가 어떤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2024.03.20
매출이 1억이하로 적은편인데 매출이 적건 크건 상관없이 기장을 맡기는게 좋을지 고민이되어 질문드립니다
2024.03.19
한달의 텀을 두고 부모님께 2번에 걸쳐 총 2억이상의 돈을 증여받았습니다. 증여세 신고를 한번에 하면 되는지 아님 각각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증빙자료는 무엇을 준비해야하는지도 알려주세요
2024.03.19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발행이 불가한가요? 방법이 없는지 궁금해요
2024.03.19
사업자 카드 말고 개인카드 사용시 비용처리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4.03.19
부모님에게 농지를 증여받으려고 합니다. 증여세 계산을 어떻게 하는지 알수 있을까요?? 그리고 상속보다는 증여가 나은것이 맞나요?
2024.03.19
사업장 위치가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인지에 따라 청년창업세금감면에서 영향을 주는걸로 알고있는데 별도 사업장이 없는 분야인 경우 위치를 사업자의 집주소로 해야만하나요 아니면 다른데로 해도 되는건가요?
2024.03.15
돈을 아끼고 싶은데 아낀다고 많이 안쓰면 연말정산에서 더 뱉어내게 되잖아요 그럼 알뜰하게 사는게 오히려 손해일수도 있을거같은데 어떻게 해야 더 절약하는 결과를 낳을수 있을까요
2024.03.15
안녕하세요 회사에다 자료 제출하고 연말정산을 받았는데 결과를 개인적으로 한번 더 확인하고싶을때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홈택스에 가서 찾아보면 되나요?
2024.03.15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세무사 기장료 회계처리는 어떻게 하면 되는 걸까요? ㅠㅠ 매달 25일쯤 자동이체되는거같습니다
2024.03.14
법인카드가 아닌 개인카드로 결제를 해버렸을경우 다시 취소하고 법인카드로 결제하는 방법 외에는 세액공제가 불가한가요? 다른 방법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024.03.13